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 언어/C언어

[C언어 공부하기] 15. 배열과 포인터 - 우당탕탕 개발자 되기 프로젝트

by 우당탕탕 개발자 2023. 7. 1.
728x90
반응형

 

포인터와 유사한 것이 바로 배열입니다.

배열은 배열 그 자체로 출력하는 방법도 있지만 포인터를 사용하여 출력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두 출력 방식의 결과는 동일합니다. 배열을 포인터를 사용하여 출력하는 방법은 역참조 연산자를 활용하여 배열 연산의 실제 값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나타내었습니다. 배열 이름을 그냥 사용하면 배열의 시작 주소를 의미한다는 점을 활용하였습니다.

배열과 포인터를 사용하다 혼돈이 올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사용하려면 개념과 구조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헷갈림 없이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배열 포인터 상수이기 때문에 포인터 연산에는 증가 + 감소 -만 존재합니다.

포인터 ( +/-) 정수 연산은 포인터가 가리키는 주소에 마치 배열이 있는 것처럼 메모리에 접근합니다.

그 후 포인터 연산 앞에 역참조 연산자 *를 붙이면 포인터 연산 후 가리키는 실제 값을 출력할 수 있게 됩니다.

반응형

포인터 방식과 배열 방식으로의 출력을 계속해서 반복 학습하고 포인터 연산도 반복 학습해 보시길 바랍니다.

 

포인터를 사용해서 배열을 변경하면 배열 원소를 하나하나 복사하지 않도고 배열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포인터를 사용해 배열의 각 원소의 주소를 찾아가고 해당 주소가 가리키는 값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포인터를 사용하는 것이 여러 방면에서 효과적이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