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dataframe2 [R 공부하기] 4. 데이터프레임 - 우당탕탕 개발자 되기 프로젝트 목차 데이터프레임 데이터프레임 생성 데이터프레임 다루기 데이터프레임에서 사용하는 함수 파일 데이터 읽기/쓰기 1. 데이터프레임 데이터프레임은 서로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2차원 데이터 테이블 형태로 묶을 수 있는 자료구조이다. 매트릭스는 저장되는 모든 값들이 동일한 자료형인 반면, 데이터프레임은 서로 다른 자료형의 값들이 함께 저장된다. 2. 데이터프레임 생성 데이터프레임을 생성할 때는 data.frame() 함수를 사용하여 생성한다. data.frame() 함수 안에 생성할 자료들을 벡터 형식으로 입력하면 해당 벡터들이 데이터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생성한 데이터프레임의 자료형을 class() 함수로 확인해 보면 data.frame 자료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tr() 함수를 통해 데이터프레임의 정.. 2024. 4. 10. [파이썬으로 하는 데이터 분석] 6. Pandas 자료구조 - 우당탕탕 개발자 되기 프로젝트 Pandas의 자료구조에는 Series와 DataFrame이 있습니다. Series는 1차원 배열이라고 생각하면 되고 DataFrame은 2차원 배열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Pandas의 자료구조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실제로 분석을 위해 수집한 데이터는 형태와 속성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데이터들을 분석에 맞게 정형화시켜줘야 합니다. Series는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나열된 1차원 배열의 형태로 파이썬에서 딕셔너리와 유사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파이썬에서 생성한 딕셔너리를 pandas 라이브러리의 Series() 메서드에 넣으면 딕셔너리가 Series로 바뀌게 됩니다. Series 자료구조를 살펴보는 이유는 DataFrame에서 원하는 위치를 뽑아 출력을 했을 때 Series 형태로 많이 나오기 때문에 .. 2023. 9. 24.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