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 언어/파이썬 (Python)

[파이썬(Python) 공부하기] 7. 리스트 - 우당탕탕 개발자 되기 프로젝트

by 우당탕탕 개발자 2023. 7. 1.
728x90
반응형

 

파이썬에서는 여러 가지 자료형이 존재하는데 우선 여러 자료들을 [ ]로 묶어주면 그 자료는 리스트가 되고, ( )로 묶어주면 그 자료는 튜플이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각각의 자료에는 각 자료별 번호가 부여되는데 그 번호를 인덱스(index)라고 합니다. 인덱스는 0번부터 시작됩니다!

 

자료를 ( )로 묶어주면 튜플이 되는데 여기서 묶인 자료가 1개라면 그것은 그냥 해당 자료의 자료형이 됩니다.

튜플로 만들어주기 위해선 자료를 여러 개 묶어주거나 하나의 자료 뒤에 콤마(,)를 찍어주면 됩니다.

 

인덱스를 활용해 해당 자료에 접근하는 것을 인덱싱이라고 합니다. 

이는 리스트 or 튜플 자료형의 이름[index 값] 형식으로 작성해 주면 리스트나 튜플 자료형에서 인덱스가 가리키는 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자료의 크기보다 큰 값으로 인덱싱하게 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리스트와 튜플에서 가장 큰 차이점 바로 자료의 값을 변경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점입니다.

리스트로 묶어준 자료형은 각각의 자료를 인덱싱하여 변경할 수 있지만, 튜플로 묶어준 자료형은 각각의 자료를 변경할 수 없습니다.

자료의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리스트의 경우 사용할 수 있는 함수가 많이 있습니다.

리스트에 자료를 추가하는 함수에는 append() 함수 insert() 함수가 있습니다.

리스트명.append(자료) 형식으로 작성해 주면 해당 자료를 리스트의 가장 마지막에 추가해 줍니다.

 

리스트명.insert(자료 넣을 인덱스 값, 자료) 형식으로 작성해 주면 리스트에 해당 인덱스 위치에 해당 자료를 추가해 줍니다.

 

pop() 함수는 리스트에서 자료를 삭제해 주는 함수입니다.

리스트명.pop(인덱스 값) 형식으로 작성해 주면 리스트 안에서 해당 인덱스의 자료를 삭제합니다.

 

count() 함수는 리스트에서 자료의 개수를 세어주는 함수입니다.

리스트명.count(자료) 형식으로 작성해 주면 리스트 안에서 해당 자료의 개수를 세어주게 됩니다.

 

index() 함수는 자료가 몇 번째 인덱스 위치에 있는지 나타내는 함수입니다.

리스트명.index(자료) 형식으로 작성해 주면 리스트에서 해당 자료 인덱스를 알려줍니다.

 

sort() 함수는 리스트의 자료들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해 주는 함수입니다.

리스트명.sort() 형식으로 작성해 주면 해당 리스트의 자료들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해 줍니다.

반응형

reverse() 함수는 리스트의 자료들의 순서를 거꾸로 배치해 주는 함수입니다.

리스트명.reverse() 형식으로 작성해 주면 해당 리스트의 자료들의 순서를 거꾸로 바꿔줍니다.

 

copy() 함수 리스트를 복사해 주는 함수입니다.

변수명 = 리스트명.copy() 형식으로 작성해 주면 리스트를 변수에 그대로 복사해 줍니다.

 

clear() 함수는 리스트의 자료를 모두 지워줘 리스트를 초기화 해주는 함수입니다.

리스트명.clear() 형식으로 작성해 주면 해당 리스트가 초기화됩니다.

 

리스트를 복사할 때는 깊은 복사 얕은 복사가 있습니다.

깊은 복사(리스트명을 그대로 대입하여 복사)는 복사한 리스트의 요소를 바꾸더라도 원래 리스트의 요소 또한 함께 바뀌고, 얕은 복사(copy() 함수를 사용한 복사)는 복사한 리스트의 자료를 바꾸더라도 복사한 리스트의 자료만 바뀌고 원래 리스트의 자료는 바뀌지 않습니다.

728x90
반응형